2022년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 전년 동기 대비 14.0% 증가
상태바
2022년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 전년 동기 대비 14.0% 증가
  • 노윤주 기자
  • 승인 2022.05.16 09: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년동기 대비 인·허가 14.0%, 착공 15.8%, 준공 16.4% 줄어
더 자세한 내용은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http://blcm.go.kr)‘맞춤형 건축통계’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http://blcm.go.kr)‘맞춤형 건축통계’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2022년 1분기 전국 건축 인허가현황을 집계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인허가 면적은 14.0% 증가하였고 착공은 15.8%, 준공은 16.4%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22.3월말 기준 전국의 인허가 면적은 40,751천㎡로 아파트, 공장 등의 증가로 인하여 전년 동기(35,732천㎡) 대비 5,019천㎡ 증가하였고, 동수는 46,435동으로 전년 동기(51,507동) 대비 5,072동 감소하였다.

전국 착공 면적은 26,021천㎡로 아파트 등의 착공 면적 감소로 전년 동기(30,911천㎡) 대비 4,890천㎡ 감소하였으며, 동수는 34,726동으로 전년 동기(40,579동) 대비 5,853동 감소하였고, 전국 준공 면적은 26,372천㎡로 아파트 등의 준공 면적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기(31,564천㎡) 대비 5,192㎡ 감소하였고, 동수는 35,716동으로 전년 동기(38,690동) 대비 2,974동 감소하였다.

건축 인허가는 경기 선행지표로 이번 분기 인허가 면적 증가로 향후 건축 부문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착공은 경기 동행지표, 준공은 경기 후행지표로 코로나 등의 여파로 일부 감소된 것으로 예상된다.

 

[1] 건축 인허가
최근 5년간 건축 인허가 연면적의 연평균 증가율은 0.5% 증가하였으며, 동수는 △7.0% 감소하였다. 동수는 감소한 반면 연면적은 증가하여 규모가 큰 건축물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연평균 증가율 = (마지막 해 1분기 면적/첫 해 1분기 면적)^(1/(마지막 해-첫 해))-1

2022년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4.0% 증가한 40,751천㎡, 동수는 9.8% 감소한 46,435동이다.

지역별> 연면적 기준으로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18,119천㎡(△480천㎡, ↓2.6%)로 감소, 지방은 22,631천㎡(5,499천㎡, ↑32.1%)로 증가하였다.

연면적은 세종 224.6%, 충북 98.2%, 경북 90.3% 순으로 13개 시·도에서 증가하고 서울, 인천, 대전, 전북은 감소하였다.
* 동수는 세종, 제주, 울산을 제외하고 감소


용도별> 연면적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공업용(38.1%), 주거용(12.4%), 상업용(2.5%) 순으로 증가한 반면, 교육 및 사회용(2.5%)은 감소하였다.

경기지역의 지식산업센터 등 공장(1,445천㎡→2,253천㎡, 55.9%↑)의 증가로 공업용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주거용과 상업용은 지방의 아파트(4,757천㎡→7,578천㎡, 55.3%↑) 및 업무시설(2,831천㎡→3,494천㎡, 23.4%↑) 증가 영향으로 보인다.

규모별> 동수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0㎡미만 건축물은 38,693동으로 10.9% 감소하였으며, 1만㎡이상은 877동으로 27.1% 증가하였다.

1분기 최대 인허가 면적은 461천㎡으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부산시민공원주변 재정비촉진지구 재정비촉진1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에 위치한 건축물이다.

층수별> 동수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5층 건축물은 42,274동으로 10.7% 감소, 11~30층 건축물은 1,362동으로 5.8% 증가하였다.

1분기 최고 인허가 층수는 49층으로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상인동 1558 오피스텔)에 위치한 건축물이다.

 

[2] 착공
최근 5년간 착공 연면적의 연평균 증가율은 △7.3%, 동수는 △2.4%로 착공 물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1분기 착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5.8% 감소한 26,021천㎡, 동수는 14.4% 감소한 34,726동이다.

지역별> 연면적 기준으로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13,674천㎡(△1,941천㎡, ↓12.4%), 지방은 12,347천㎡(△2,948천㎡, ↓19.3%) 모두 감소하였다.

전년 동기 대비 연면적은 울산 29.0%, 부산 28.3%, 제주 23.8% 순으로 5개 시·도에서만 증가하고 세종, 경남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용도별> 연면적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10.3%)은 증가한 반면, 주거용(△34.1%), 기타(△20.8%), 공업용(△4.0%), 교육 및 사회용(△1.1%) 순으로 감소하였다.

상업용의 증가는 판교, 동탄 등 경기의 업무시설 신축(787천㎡), 인천터미널 복합쇼핑시설 증축(295천㎡), 천안아산의 생활숙박시설 신축(274천㎡)의 영향으로 보인다.

주거용의 감소폭이 크게 나타난 것은 전년 동기 아파트(84.6%) 증가폭이 유난히 컸던 기저효과로 보인다.

규모별> 동수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0㎡미만 건축물은 28,901동으로 14.2% 감소하였으며, 1만㎡이상은 498동으로 17.7% 감소하였다.

층수별> 동수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층 건축물은 32,703동으로 13.3% 감소, 31층 이상은 34동으로 64.6% 감소하였다.

 

[3] 준공
최근 5년간 준공한 건축물의 연면적 연평균 증가율은 △5.8%,동수는 △9.2%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1분기 연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6.4% 감소한 26,372천㎡, 동수는 7.7% 감소한 35,716동이었다.

지역별> 연면적 기준으로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13,879천㎡(△1,789천㎡, ↓11.4%), 지방 12,493천㎡(△3,401천㎡, ↓21.4%)로 모두 감소하였다.

연면적은 인천 182.5%, 광주 168.2%, 대구 91.7% 등 5개 시·도에서 큰 폭으로 증가, 동수는 세종, 인천 등 4개 시·도를 제외하고 감소하였다.

용도별> 연면적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교육 및 사회용(20.8%), 공업용(0.9%)은 증가한 반면, 주거용(△30.9%), 상업용(△13.4%), 기타(△8.2%) 순으로 감소하였다.

교육 및 사회용은 대구의 문화집회시설(2천㎡→137천㎡), 경기의 교육연구시설(83천㎡→180천㎡)이 증가하고 주거용은 2~3년 전 인허가·착공 연면적 감소 영향으로 보인다.

규모별> 동수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0㎡미만 준공된 건축물은 29,255동으로 7.5% 감소하였으며, 1만㎡이상은 473동으로 11.8% 감소하였다.

층수별> 동수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준공된 1~5층 건축물은 33,265동으로 8.0% 감소한 반면, 31층 이상은 111동으로 11.0% 증가하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